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1 페이지

본문 바로가기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HOME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 인원구성 』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가. 악사(30명)

* 영 각( 1)
* 호 적( 1)
* 쇠 잽 이( 2) - 설쇠잽이(상쇠) 1명, 종쇠잽이(부쇠) 1명
* 징 잽 이( 2) - 징잽이 2명
* 장구잽이( 6) - 장구잽이 6명
* 북 잽 이( 6) - 북잽이 6명
* 버꾸잽이(12) - 버꾸잽이 12명

나. 잡색(21명)

* 기수 1명
* 사대부 1명
* 팔대부 1명
* 김생원 1명
* 김생원부인 1명
* 포수 1명
* 머슴 2명
* 하동 1명
* 문서잽이 1명
* 사령 1명
* 동네사람 10명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 복색 』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공통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 위 : 흰색 한복 저고리
* 아래 : 흰색 한복 바지 행전(중간대님),버선, 짚신

설쇠잽이

설쇠잽이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옥색 조끼를 입고 머리에 흰색 꽃 다섯 개 달린 고깔을 쓴다.

풍물꾼

풍물꾼 [종쇠잽이/징잽이/북잽이/장구잽이 등]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옥색 조끼를 입고 빨강,노랑,진분 홍,연분홍,남색 등
각색의 꽃 다섯 개 달린 고깔을 쓴다.

버꾸잽이

버꾸잽이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빨 강,노랑, 진분홍,연분홍,남색 등 각색의 꽃 다섯 개 달린 고깔을 쓴다. 적색,청색,황색의 삼색 띠를 몸에 두른다.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기수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옥색 조끼를 입고 빨강,노랑,진분 홍,연분홍,남색 등 각색의 꽃 다섯개 달린 고깔을 쓴다.

사대부

사대부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미색 도포를 입는다. 머리에 四大夫 정자관을 쓰고 손에 곰방대(장죽)를 든다. 검은 수염을
길게 단다.

팔대부

팔대부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미색 도포를 입는다. 머리에 八大夫 정자관을 쓰고 손에 곰방대(장죽)를 든다. 허연 수염을 길게 단다

포수

포수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표범 무늬의 조끼를 입고, 털로 만 든 모자를 쓴다. 등에 꿩을 매단 망태를 메고 목총을 든다.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김생원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한복 바지저고리 위에 마고자 를 입는다. 오른손에 담뱃대를 든다.

김생원 부인

김생원 부인 한복 치마저고리(적색 저고리 자주색 치마)를 입는다. (비교적 수수한 차림) 쪽진 머리에 짧고 굵은 비녀를 꽂는다.

머슴

머슴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흰색 머리띠를 동여매고, 손에는 마당 빗자루를 든다. 바지를 걷어 올리고, 맨발에 짚신을 신는다.

하동

하동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도령 복을
입고 가죽신을 신는다. 천자문 책을 든다.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각시

수영지신밟기 구성과 내용 한복 치마저고리를 입는다. 쪽진 머리에 짧고 굵은 비녀를 꽂는다.

문서잽이

문서잽이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에 옥색 도포를 입고 갓을 쓴다. 장부와 권선(부채)을 든다

사령

사령 흰색 한복 바지저고리를 입고 상투를 쓰고 흰 머리띠를 동 여맨다. 맨발에 짚신을 신고 쌀자루를 어깨에 맨다.

마을사람

마을사람 한복 바지저고리에 마고자 혹은 두루마기를 착용 한다. 두루마기를
입고 정장을 했을 경우 갓을 쓴다. 여자들은 한복 치마저고리를 입는다.